지난 20일, 미국 내 연구진을 중심으로 700개의 인간 유전체(게놈) 지도가 추가 작성될 것이라는 계획이 공식 발표됐다. 사람 수로 따지면 350명에 이르는 분량이다. 빈틈을 모두 채운 인간 유전체 지도를 담은 논문이 공식 발표된 시점으로부터 20일, 3조원가량의 막대한 연구비를 들여 단 하나의 유전체 지도를 작성한 시점으로부터 20여년 뒤 공식화된 계획이다. 그사이 유전체 연구 분야는 눈부실 만큼 빠르게 발전했고, 이제는 수천만원 정도면 혼자서도 고품질의 인간 유전체 지도를 작성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투입해야 하는 연구비는 10만분의 1 정도로 줄었으며, 필요한 시간과 인력도 그에 못지않게 줄어들었다. 유전체 지도 작성의 시대이다. ...(후략).
[한겨례] 유전체 지도와 이동권 투쟁
김준 서울대 기초과학연구원 연수연구원
2022.04.27 16:52 | 한겨례
지난 20일, 미국 내 연구진을 중심으로 700개의 인간 유전체(게놈) 지도가 추가 작성될 것이라는 계획이 공식 발표됐다. 사람 수로 따지면 350명에 이르는 분량이다. 빈틈을 모두 채운 인간 유전체 지도를 담은 논문이 공식 발표된 시점으로부터 20일, 3조원가량의 막대한 연구비를 들여 단 하나의 유전체 지도를 작성한 시점으로부터 20여년 뒤 공식화된 계획이다. 그사이 유전체 연구 분야는 눈부실 만큼 빠르게 발전했고, 이제는 수천만원 정도면 혼자서도 고품질의 인간 유전체 지도를 작성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투입해야 하는 연구비는 10만분의 1 정도로 줄었으며, 필요한 시간과 인력도 그에 못지않게 줄어들었다. 유전체 지도 작성의 시대이다. ...(후략).
기사보기: https://m.hani.co.kr/arti/opinion/column/1040623.html?fbclid=IwAR1cekhj_PtJm7Ce926qYx4Ru6txnRhXRO8pK1gQKRc5u-t9ayBFZ_ZXbf4#cb
※ 본 기고의 저작권은 발행처에 있으며,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고자 기고 전문을 싣지 않습니다.